✅ 육아휴직 지원금이란?
육아휴직 지원금은 만 8세 이하(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)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부모가 회사에 육아휴직을 신청하면, 정부에서 일정 금액을 매월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는 고용노동부에서 관리하며,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라면 대부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직장을 잠시 쉬면서도 생계 걱정을 덜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제도이며, 맞벌이 부부 모두에게 적용 가능합니다.
👪 육아휴직 지원금,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2025년 기준으로 육아휴직 급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.
▶ 기본 지급 금액
| 기간 | 급여 | 최대 금액 | 비고 |
| 1~3개월 | 통상임금의 80% | 월 최대 150만원 | 최소 70만원 보장 |
| 4~12개월 | 통상임금의 50% | 월 최대 120만원 | 최소 70만원 보장 |
예시: 통상임금이 250만원인 경우 →
- 1~3개월: 250만 × 80% = 200만 → 월 최대 150만원 수령
- 4~12개월: 250만 × 50% = 125만 → 월 최대 120만원 수령
👶 배우자도 함께 육아휴직하면 '육아휴직 급여 플러스'
맞벌이 부부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**"아빠육아휴직보너스제"**를 통해 두 번째 사용자의 3개월 급여 상한선이 월 250만원까지 오릅니다.
예시:
- 엄마가 먼저 6개월 사용
- 이후 아빠가 육아휴직 3개월 사용 시
→ 첫 3개월 월 250만원까지 지원
📋 육아휴직 지원금 신청 자격은?
① 고용보험 가입자 (피보험자)
- 재직 중인 근로자
-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
② 자녀 조건
-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
- 출생신고 완료된 자녀에 한함
③ 육아휴직 사용 조건
- 사용자(회사)의 승인을 받은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
- 최소 30일 이상 육아휴직 사용해야 급여 지급

📝 육아휴직 지원금 신청 방법, 어렵지 않아요!
1. 회사에 육아휴직 신청
- 육아휴직 신청서 및 휴직기간 명시
- 최소 30일 전 사전 신청 권장
2.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급여 신청
신청 경로:
👉 고용보험 홈페이지 → 개인서비스 → "육아휴직 급여 신청"
또는
👉 가까운 고용센터 방문 신청 가능
3. 제출 서류
- 육아휴직 확인서(회사 발급)
- 가족관계증명서
- 통장사본
- 신분증 사본
-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확인서(자동 연동 가능)
📅 육아휴직 지원금 신청 시기
육아휴직을 시작한 다음 달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, 한달 단위로 소급신청도 가능합니다.
예) 2025년 6월에 육아휴직 시작 → 2026년 6월까지 신청 가능

🧾 실수 줄이기! 육아휴직 지원금 신청 시 자주 하는 질문 (FAQ)
Q1.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육아휴직 급여 받을 수 있나요?
A. 아쉽게도 불가능합니다.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만 해당됩니다.
Q2. 계약직인데 받을 수 있나요?
A.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이면 가능합니다. 다만 계약기간 내에 육아휴직이 포함되어야 합니다.
Q3. 육아휴직 중 겸직(부업)은 가능한가요?
A. 원칙적으로 육아휴직 중에는 겸직이 제한되며, 적발 시 급여 환수 조치가 될 수 있습니다.
Q4. 월급이 줄어드는데 국민연금/건강보험도 줄어드나요?
A. 육아휴직 중에는 보험료 납부 유예가 가능하며, 일정 요건 시 국민연금 보험료의 일부 지원도 가능합니다.
🔍 육아휴직 지원금과 함께 받을 수 있는 혜택
육아휴직 지원금 외에도 육아기를 위한 다양한 정부 혜택이 있습니다.
① 자녀돌봄휴가 / 가족돌봄휴가
- 자녀 질병 또는 코로나 격리 시 유급휴가 가능
② 출산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
- 하루 2시간 근무 단축 → 월 최대 80만원 지원
③ 아이돌봄서비스 바우처
- 정부지원으로 돌봄서비스 시간당 2,000원 이하 이용 가능
📌 육아휴직 급여 신청, 회사가 거부하면 어떻게 하나요?
육아휴직은 근로자의 권리이며, 회사는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할 수 없습니다. 거부 시에는 고용노동부에 신고하거나 노동위원회에 진정을 넣을 수 있습니다.
📞 고용노동부 상담센터: ☎ 1350 (국번 없이)
📧 온라인 민원: 고용노동부 민원마당
✅ 정리: 육아휴직 지원금은 ‘당당하게’ 신청하세요!
육아휴직은 더 이상 눈치 볼 제도가 아닙니다. 맞벌이든 외벌이든, 육아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국가가 생계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. 육아와 일,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첫걸음으로 육아휴직 급여는 필수로 챙겨야 할 제도입니다.

